3RSYS 빙하7 M.2 방열판 사용후기

2020. 3. 5. 21:52하드웨어,튜닝

반응형

안녕하세요!

이번에, 쿨앤조이에서 진행한 필드테스트에서

3RSYS 빙하7 M.2 방열판에 선정되어 테스트할 기회가 생겼습니다!ㅎㅎ

 

 

출시전, 공개된 디자인 이미지만으로도 상당히 깔끔하고,

방열판도 두꺼워보여 상당히 기대가되던제품이었는데요!

출시가격이 가장궁금했었는데 가격도 매우착한가격 9900원에 출시가되었네요!ㅎㅎ

-다나와 가격비교 링크-

http://prod.danawa.com/info/?pcode=10438206&keyword=3RSYS%20%EB%B9%99%ED%95%98&cate=112798

 

[다나와] 3RSYS 빙하7 M.2 SSD 방열판 (BLACK)

최저가 9,900원

prod.danawa.com

 

 

제품 구성은 이렇습니다.

방열판 상,하 / 서멀패드 x 2 / 고정핀 x 2

방열판은 질감이 꽤좋고, 사진보다 실제로보면 상당히 멋스럽습니다 ㅎㅎ

상단 방열판 아래쪽에 주변이 비치는 스틸처리가 전 정말 잘 디자인했다고 생각됩니다.

(쿨링팬, 수냉쿨러펌프헤드등의 RGB가 비추게되면 빛반사 효과가 상당히 좋을거라생각되어서말이죠!)

서멀패드가 두개나 깔끔하게 들어있는것도 정말 칭찬해줄만 하다 생각이드는데..

저 고정핀 2개와.. 설치 설명서가 포함되지않은점은 약간 마음에들지않더군요...

다음 제품 설명서와, 장착사진으로 설명드리겠습니다.

 

설명서가 제품내에 포함되어있지않아, 제 허접한실력으론 어떻게 조립해야하는지 이해가되지않아서,

제품페이지에 접속하여 조립을해보았습니다.

분명 손쉬운 설명서라고 되어있지만.. 음 물론 어렵지는 않습니다!

근데, 쉽지도않습니다. (특히 방열판 연결해제가요)

조립설명서 "E"파트의 "고정 스프링을 이용하여 본체를 잘 잡고 밀어 넣어 줍니다."

이것뿐이어서, 되게쉬워보였는데 그게 또 아니더군요.

 

 

직접 조립을 완성한 상태입니다.

보시는것처럼 방열판 상하판사이의 홈이 좀 많습니다.

설명서대로 바깥쪽 홈이라고생각하고 1번홈에 끼우면되겟지하고 넣어봤으나, 

어라..? 고정이 안되고 스프링핀이 튀어나오는데....

뭐지?하고 2번,3번홈도 하나씩 한 10분가량을 헛손질하다가,

설마.......

이겁니다!! 상, 하판 결합한이후에 여기다가 스프링핀을 힘겹게 낑겨?넣으니까

드디어 고정이되더군요 후우우우우우.....

 

 

결합을 완료하면 이런모습이됩니다.

여기까지 밀어넣는데도 손이아프더군요ㅜ

서멀패드는 하나만 장착해도 충분할거같아, 여분사용을위해 하나만 장착했습니다.

좌측핀과, 중앙에 약간 삐져나와보이는 핀은 실제로 장착시엔 전혀보이지않아서 문제되지않고요.

이제 장착후 테스트, 비교를 해보겠습니다 ㅎㅎ

 

*3RSYS 빙하7 M.2 방열판 장착사진

 

테스트는 오픈형 벤치테이블에서 진행했고요.

테스트용 시스템 사양은

라이젠 3600

SABRENT PCIE 4.0 M.2 500GB

MSI B450 박격포 MAX

팀그룹 CL18 4000MHZ 8x2 램(CL16 3733조정)

EVGA RTX 2070 FTW3

커세어 CX750 브론즈파워

 

삼성 970 EVO PLUS 500GB와, HP EX920 1TB도있지만, 윈도우가 설치되어있지않은 관계로

B450보드에서 PCIE 4.0 SSD로 테스트해보았습니다.

3.0속도인 3500까지 최대속도로 동작하지만, 발열테스트엔 문제가 없을거라 생각되었고,

해당 SABRENT제품이 자체적으로 방열테이프처리가되어있어,

낮은온도를 보고싶어하는 저에겐 최적의 제품이라 생각되서 해당제품으로 테스트해보았습니다!

 

오늘 비교실험은

방열판없는 맨몸 / 3RSYS 빙하7 방열판 / 리뷰안M2F35 PWM팬 방열판

 

*리뷰안 팬 방열판

실내온도 15.2도에서 진행했구요(전 추운게좋습니다)

크리스탈 디스크벤치 16기가 테스트를통해

3가지로 온도비교를 해보겠습니다.

 

1. 맨몸뚱이

역시 SSD자체가 방열스티커가 달려있는모델답게,

최저 24도 / 최고 33도로 안정적인 온도가 나오는 제품입니다.

 

2. 3RSYS 빙하7 M.2 방열판 장착

최저 21도 / 최고 26도

오!! 최저는 3도 최고는 7도나 더떨어졌습니다.

얼마안되는 온도같지만, 기존 온도자체가 낮은모델에서 이만큼이나 떨어졌다는건,

방열 효과가 매우 좋다고 볼수있습니다.

 

3. 리뷰안 팬 방열판

최저 19도 / 최고 24도

3RSYS 빙하7과 대비해서 최고,최저온도 모두 2도 차이가났습니다.

이정도차이라면, 발열이 높은 모델을 사용할경우엔 한 10도정도까지 차이가 날것같은데요.

 

방열판 성능만 보자면, 리뷰안 팬 방열판 제품이 1등인게 맞습니다.

근데, 아주 큰 문제가 있죠 ㅜ

 

3월 5일 기준 다나와 최저가.

리뷰안 팬 방열판 = 27300원

3RSYS 빙하7 방열판 = 9900원

 

 

네..거의 3배차이죠 가격이 ㅎㅎ

여러분은 뭘사시겠어요?

 

멋모르던시절에 리뷰안 방열판을 전 비싸게 주고사서 방열판 하판이 망가진 지금도

돈이 아까워서.. 상판만가지고 서멀패드에 얹어놓는형태로만 쓰고있습니다.

분명 비싼제품인데도 조립,분해,케이스이동을 자주하다보니 방열판 하판이 금방 긁혀서 헐거워지더군요.

 

역시 정답은....방열판이 다달려있는 비싼 메인보드가 답........이 아니고,

중하위 라인업 메인보드를 쓰는 이용자분들이 많을테고,

그런 메인보드들은 대부분 방열판이 없기에 발열이높은 M.2를 이용시엔 꼭 방열판이 필요하게됩니다.

어느분들은 게임정도하는데에 방열판같은거 없어도된다. 뜨거운채로 이용해라 하시는분들도있지만,

전 절대 싫습니다!! 여름에!! 너무!! 덥습니다!!

컴터가 힘들어할까봐? 성능을 1%라도 올리기위한 냉각솔루션? 아닙니다.

전 여름에 제방이더워지는게 싫어서 쿨링에 어느정도 신경씁니다.

(거실에어컨이 제방까지 바람이 잘안와요......)

 

..........잡설이 너무 길었구요ㅜ

 

간단 총평을 하자면,

전 고정스프링 빼고는 모두다마음에듭니다.

제품 퀄리티도 너무 훌륭하구요.

3RSYS의 로고는 호불호가있겠지만, 저정도 작은사이즈라면 보기에도좋고, 

특히 상판 하단부의 스틸처리가 RGB비추는데 매우이쁠거라생각됩니다!!

 

또하나, 3RSYS만의 장점은 J사 제품처럼 높이가 높지않아,

M.2단자가 그래픽카드 슬롯 위가아닌, 아래에 위치한 메인보드들은 해당 J사의 방열판 장착이어렵습니다.

그래도 빙하7도 아주 높이가 낮은 제품은 아니어서, 그래픽카드 두께에따라 걸리는 일이생길수도있을거라 생각됩니다.

 

그리고 가격을 말안할수가없는데요, 저같이 멍청한 27300원 쓰는 소비자도있고..

3RSYS 빙하7 제품이전에도 J사의 가성비 방열판이 7800원에 현재도 포진해있죠.

하지만 3RSYS지않습니까? 아시는분들은 다아는!! 금,토,일 매주 주말마다 아주많은 제품을 할인을하죠.

분명 또 더 저렴하게 팔아주실겁니다 이분들은!! 심지어 AS도 훌륭하죠.

 

저는 덕분에 괜찮은 제품 만져봐서 너무 즐거웠구요! 컴퓨터 맞추고자하시는분들은,

이런 방열판같은 적은돈이라도 한푼한푼 소중한 돈이기때문에 최대한 가성비를 생각해서 구매해보시기바랍니다 ㅎㅎ

 

[이 사용기는 (주)쓰리알시스와 쿨엔조이 행사를 통해 제품을 제공받아 작성하였습니다.]

반응형